전국 413개 응급실 24시간 운영
보건복지부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국 413개 응급실과 17개 권역외상센터가 24시간 진료를 이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응급의료 공백을 막고 중증 환자 대응 역량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응급 진료 전문의 수가 가산과 거점 응급센터 운영을 통해 골든타임 내 환자 치료가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
연휴 중 이용 가능한 병·의원과 약국
외래 진료의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문을 여는 병·의원과 약국에는 한시적 수가 지원을 확대합니다. 환자와 보호자는 응급의료포털, 응급 똑똑 앱, 119 콜센터를 통해 가까운 병원이나 약국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위험 환자와 소아 환자 대책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는 권역 모자의료센터 핫라인을 통해 신속한 이송이 지원됩니다. 소아 환자는 소아 전문 응급의료센터, 소아청소년병원, 달빛 어린이병원 등을 통해 경증부터 중증까지 연휴 내내 진료가 가능합니다.
심뇌혈관 환자 및 구급체계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심뇌혈관 질환자는 24개 전문 센터 협력망을 통해 골든타임 치료가 보장됩니다. 또한, 119 구급대와 닥터헬기가 상시 대기해 중증 응급환자 이송이 가능하며, 중앙응급의료센터와 지자체가 함께 24시간 상황실을 운영합니다.
비상진료 체계 운영 현황 표
구분 | 운영 내용 |
---|---|
응급실 | 전국 413개소 24시간 운영 |
외상센터 | 17개 권역외상센터 연휴 기간 상시 대기 |
소아 환자 | 소아응급센터, 달빛 어린이병원 운영 |
심뇌혈관 환자 | 24개 전문 센터 협력 네트워크 가동 |
이송 지원 | 119 구급대, 닥터헬기, 전담 구급차 대기 |
이번 추석 연휴에도 정부는 철저한 비상진료 체계를 마련해 국민이 안심하고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갑작스러운 상황이 생기면 당황하지 말고 응급의료포털, 119, 응급 똑똑 앱을 먼저 활용하세요. 여러분의 안전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미리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입니다.
Q&A
Q1. 추석 연휴에 가까운 병·의원을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A1. 응급의료포털, 응급 똑똑 앱, 119 콜센터를 통해 위치와 운영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2. 아이가 갑자기 아프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
A2. 달빛 어린이병원이나 소아 전문 응급의료센터에서 경증부터 중증까지 진료가 가능합니다.
Q3. 심근경색이 의심될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A3. 지체하지 말고 119에 즉시 연락해 전문 센터로 이송을 받아야 골든타임 내 치료가 가능합니다.
Q4. 산모나 신생아 응급 상황은 어떻게 대처하나요?
A4. 권역 모자의료센터 핫라인과 전원지원팀을 통해 신속히 이송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Q5. 약국은 추석에도 운영하나요?
A5. 일부 약국은 비상 운영하며, 응급의료포털과 119 콜센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